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이(ARK: Survival Ascended)
(r1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= 조련 방식 === [[https://www.dododex.com/taming/yiqi|이 Dododex]] 이 링은 '''기절 조련'''이다. 하지만 조련 방식이 조금 특이하며, 난이도가 어려운 편이다. 이 링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준비물은 식물종 Z 열매, 튼튼한 방어구나 방패, 마취 효과가 있는 소모품(마취약, 생체독소[* 블루존의 크니다리아를 사냥하거나, 에버 맵 곳곳에 있는 독 버섯 오브젝트를 초식 생물로 채집하면 얻을 수 있다.], 아서라빅 버섯 등)이다. 후술할 조련 방식 때문에 침낭, 의료용 브루를 챙겨두는 것도 좋다. 이 링은 선공형 생물로, 생존자를 발견하면 꼬리 깃털을 마구 난사한다. 벽에 매달린 채로도 하지만 주로 플레이어 주변을 활공하면서 깃털을 난사할텐데, 이 깃털은 맞으면 박힌 상태로 남아있으면서 플레이어 화면에 디버프처럼 현재 얼마나 박혔는지가 표시된다. 대략 40개 정도 박혔을 때 이 링이 활공하다 플레이어를 향해 급강하하는데, 이때 식물종 Z 열매를 던져서[* 직접 맞춰도 상관없고 바로 땅에다 던져도 상관없다. 이 링이 식물종 Z 열매의 섬광을 급강하 중에 보게 하면 된다.] 8초간 스턴을 걸 수 있다. 한 가지 팁으론 이링이 급강하하기 전의 전조로 활공할 때 이 링을 따라 빨간 잔상이 잠시 나타나므로 이걸 잘 포착하면 급강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. 스턴에 걸린 이 링에게 다가가 평화 조련하듯 마취약 등을 먹이면 기절 수치를 올릴 수 있다. 이를 이 링이 기절할 때까지 반복하면 된다.기절 수치는 생체독소가 약 300으로 가장 많이 올려주며, 그 다음으론 150 정도인 마취약이 좋다. 다만 기절 수치를 채우기까지의 과정 동안 기절 수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마취 소모품을 이 링의 기절 수치 이상을 준비해야 한다. 구체적인 요구량은 다음과 같다.[* 참고로 기절시키는 과정으므로 조련 배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.] {{{#!wiki style="width:100%; text-align:center; font-size:.9em" ||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600px><tablebordercolor=#152839><tablebgcolor=#152839><tablecolor=#06adf0> '''레벨''' || '''5''' || '''25''' || '''50''' || '''100''' || '''125''' || '''135''' || '''145''' || '''150''' || '''180''' || ||<colbgcolor=#152839><colcolor=#06adf0> [[파일:Bio_Toxin.png|width=20]]'''생체독소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1 || 2 || 3 || 5 ||<-4> 6 || 8 || || '''마취약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2 || 3 || 5 || 9 ||<-2> 11 ||<-2> 12 || 15 || || [[파일:아서빅 버섯.png|width=20]]'''아서빅 버섯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3 || 5 || 8 || 14 || 17 || 18 || 19 || 20 || 23 || || [[파일:나코베리.png|width=20]]'''나코베리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8 || 16 || 26 || 45 || 55 || 58 || 62 || 64 || 76 ||}}} 기절한 이 링은 다른 육식생물들과 먹이 효율이 비슷하기 때문에 고품질 생고기나 양고기, 키블을 먹이면 된다. 가장 선호하는 키블은 초반에 만나는 생물답지 않게, 그것도 에버레이션에선 만들기 힘든 뛰어난 키블이다.[* 뛰어난 키블은 렉스, 브론토, 케찰 등의 대형 생물이 낳는 알로 만들 수 있는데, 문제는 이런 생물들은 에버레이션에선 '''전부 스폰되지 않으며, 들여오는 것도 안된다.''' 즉, 키블만 다운로드하거나 에버레이션 안에서 자체 수급해야 하는데, 자체 수급의 경우 현재까지 에버레이션에서 스폰되는 생물 중 알을, 그것도 뛰어난 등급의 알을 낳는 건 '''바실리스크 뿐이다.''' 그나마 ASA에 와서 바실리스크의 교배가 가능해졌기에 길들이기만 한다면 알 수급 자체가 어렵진 않지만, 바실리스크 자체부터가 락드레이크 둥지 진입이 가능한 후에나 길들일 수 있을 정도로 길들이는 시기가 늦는 생물인데, 그런 생물의 알로 만들 수 있는 키블을 초반에 볼 수 있는 이 링의 선호키블로 설정해놓은 것부터가 어불성설이나 다름없다. --ASE 시절에도 카르키노스 선호 키블을 뛰어난 키블로 설정해놓은 거 보면 제작진이 에버에서 뛰어난 키블을 만들 수 있는 생물이 없다시피하다는 걸 모를 정도로 생각이 없는 것 같다. 심지어 그땐 바실리스크 교배도 안 돼서 무정란만 써야 했다.--] 자세한 먹이 효율은 공식 1배율 기준 다음과 같다. {{{#!wiki style="width:100%; text-align:center; font-size:.9em" ||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600px><tablebordercolor=#152839><tablebgcolor=#152839><tablecolor=#06adf0> '''레벨''' || '''5''' || '''25''' || '''50''' || '''100''' || '''125''' || '''135''' || '''145''' || '''150''' || '''180''' || ||<colbgcolor=#152839><colcolor=#06adf0> [[파일:Exceptional_Kibble.png|width=20]]'''뛰어난 키블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3 || 4 || 5 || 9 || 10 ||<-2> 11 || 12 || 14 || || [[파일:양고기.png|width=20]]'''양고기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5 || 8 || 11 || 18 || 21 || 22 ||<-2> 24 || 28 || || [[파일:고품질 생고기.png|width=20]]'''고품질 생고기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6 || 10 || 14 || 22 || 26 || 28 ||<-2> 30 || 35 || || [[파일:아크생고기.png|width=20]]'''생고기''' ||<rowbgcolor=#fff,#000><rowcolor=#000,#fff> 18 || 28 || 40 || 65 || 78 || 83 || 88 || 90 || 105 ||}}} 유의할 점은 급강하의 속도가 빠른 편인데다 급강하할 것 같다고 해서 조금 빨리 열매를 던지면 이 링이 스턴을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. 이 링이 스턴에 걸리지 않으면 급강하로 그동안 박혀있던 깃털들이 터지면서 크게 대미지를 주니 열매를 던지는 타이밍을 잘 조절해야 한다. 이 링이 뿌리는 깃털 자체는 그리 아프진 않은 편이지만 이 링이 기절할 때까지 계속 맞아줘야 하기도 하고 이 링이 활공 중에 땅에 내려오면 깃털대신 무는 공격도 하면서 무엇보다 깃털이 잔뜩 박힌 상태에서 급강하를 맞아줬을 때의 피해량이 플레이어가 감당하기엔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해 꼭 튼튼한 방어구와 여분 방어구를 마련해두는 게 사실상 필수고, 여차하면 침낭이나 의료용 브루도 준비해 두는 것도 좋다. 또한 이 링의 플레이어 주변을 돌면서 활공하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서 조련을 진행하는 것이 편하며, 조련에 방해가 될 만한 생물들을 미리 처리해놓는 것도 권장한다.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